전체 글
-
Week00 : 정글 입성기타/SW 정글 2022. 3. 29. 01:32
정글 입성 1) 전체 과정 설명 2) 정글 취지 설명 1) 전체 과정 설명 - 입학 시험 --> 미니프로젝트 : 모르는 사람과 코드를 가지고 협업하는 과정 - 컴퓨팅 사고로의 전환(week1 ~ week4) : 알고리즘 - 탐험 준비(week05 ~ week 07) : C언어 - 정글 끝까지 (week08 ~ week 13) : OS 프로젝트 - 나만의 무기를 갖기(week 14 ~ week 18) : 실제 현업에서 쓰이는 프레임워크와 언어 이용 프로젝트 - 세상으로 뛰어들기(week 19) : 입사 지원 및 면접 한 주 한 주 따라가기 바쁘니 미리 걱정하지 말기 !! 2) 정글 취지 설명 ( 장병규 의장님) (1) 내 삶은 내 것, 어떤 질문도 환영 (2) 늦은 프로그래머, 동아리 방, 환경 + 몰입 ..
-
2022.03.03 - [이코테] 파이썬 기초 문법(2) - 파이썬의 자료형개발/Python 2022. 3. 3. 18:56
기본 입출력 자주 사용되는 표준 입력 방법 input() : 한 줄의 문자열을 입력 받는 함수 map() : 리스트의 모든 원소에 각각 특정한 함수를 적용할 때 list() : 리스트 선언 ex)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된 데이터 입력 받기 - list(map(int, input().split())))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된 데이터의 개수가 많지 않다면 - a, b, c = map(int, input().split()) - 공백 기준으로 문자열로 입력 받아서 -> int로 형변환 a = list(map(int, input().split())) print(a) >>> 1 2 3 4 5 >>> [1, 2, 3, 4, 5] 빠르게 입력받기 sys 라이브러리에 정의된 sys.stdin.readline() 메소드 ..
-
2022.03.03 - [이코테] 파이썬 기초 문법(1) - 파이썬의 자료형개발/Python 2022. 3. 3. 17:49
파이썬의 자료형 수 자료형(정수형, 실수형), 리스트 자료형, 문자열 자료형, 튜플 자료형, 사전 자료형, 집합 자료형 정수형 : 양의 정수, 음의 정수 실수형 : 소수점 아래 데이터 포함 지수표현 방식 e/E 다음에 오는 수는 10의 지수부 유효숫자e지수 = 유효숫자*10^지수 실수형 데이터로 처리한다 임의의 큰 수를 표현할 때 사용됨 - 최단 경로 알고리즘에선 도달할 수 없는 노드를 무한(INF)로 설정하는데, 이때 1e9 대입하면된다. ※ 실수형 표현하는 정확도에 한계가 존대한다. 컴퓨터는 2진수 체계이기 때문이다. ex) 0.3 + 0.6 = 0.9(10진수 체계), 0.3 + 0.6 = 0.8999...(2진수 체계) --> round() 함수 이용 round(123.456 2) --> 출력 ..
-
2022.03.03 - [이코테] 코딩테스트 개요개발/Python 2022. 3. 3. 16:59
코딩 테스트 일종의 문제 풀이 시험. 공개 채용을 하는 기업에서 응시자의 수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방법 온라인 코딩 테스트 오프라인 코딩 테스트 국내 추천 사이트 백준 온라인 저지(BOJ) / https://www.acmicpc.net 코드업(CodeUp) / https://codeup.kr 프로그래머스(Programmers) / https://programmers.co.kr SW Expert Academy / https://swexpertacademy.com 알고리즘 성능 평가 시간 복잡도 : 알고리즘 수행 시간 분석 작성한 프로그램이 모든 입력을 받아 이를 처리하고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 그래서 해당 시간 안에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정답 판정을 받을 수 있음. 시간 복잡..
-
2022. 02. 23 첫 직장 퇴사Life 2022. 2. 24. 17:59
퇴사 회사를 다니면서 업무를 흥미롭게 진행해본 기억이 거의 없다. 항상 일요일이 되면 회사를 가야하는 불안감이 컸었고, 이쪽 분야가 안맞는게 아닌가 생각이 들었다. 일을 대략적으로 2년정도 하면서 내가 대학 때 공부한 것과 업무는 다르다고 많이 느꼈다. 사실 이 분야는 이론적으로도 매우 중요하지만 필드에서 경험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했다. 새로운 것들이 많이 나오는 분야는 아니고 안정적으로 운영하면 되는 직무였다. 엔지니어로 있으면서 학문적으로 많이 공부하기 보다는 다른 업무들이 매우 많았고 특히 일정 조율하는 업무가 많이 있었다. 이런 부분이 계속해서 미래에 대한 생각을 하게 했다. 내가 이 분야를 평생하면서 살 수 있을까? 일주일을 버티는 느낌으로 평생 지낼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했던 반면 내가 아..